이제는 기업을 평가할 때 기업의 재무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윤리적 가치를 반영하는 ESG를 그 기업의 평가 요소로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ESG란 무엇이며 탄생 배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SG'의 뜻
ESG란 기업의 비재무적인 요소인 Environment(환경), Social(사회), Govermance(지배구조)를 뜻하는 말입니다.
이 세 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투자자들이 기업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의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ESG 보고서의 데이터를 공개함으로써 투자자들은 기업이 지속 가능한 수입을 창출할 수 있는 기업 환경을 가지고 있는지 판단할 때 사용됩니다.
1) 지속 가능성의 중요성 부각
기존의 기업들은 매출과 영업이익을 우선으로 하는 회사 경영을 하였습니다. 한마디로 이익이 우선이 되는 재무적인 요소가 중심이 된 기업의 형태였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투자자들이 재무적인 요소만으로는 그 기업을 판단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하기 시작했습니다. 즉 단기간으로 이윤이 증가하여도 그 이윤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면 투자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어떻게 해야 투자자들은 기업에 투자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고 그 결과로 ESG라는 비재무적인 요소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2) 투자자의 판단의 척도: 비지배적인 요소의 중요성
그 결과 이 기업이 얼마나 친환경적(Environement)이고 사회적인 책임(Social)을 다하고 있는 지를 체크하고 지배 구조(Governace)에서 의사를 결정할 때 얼마나 독립성과 투명성이 보장되었는지 볼 수 있는 비지배적인 요소가 중요하게 된 것입니다.
또한 회사의 ESG 운영방침에 따라 회사의 이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회사의 ESG 요소가 그 회사의 미래에 대한 투자의 조건이 된 것입니다.
결국 투자자들은 기업의 매출과 영업이익만이 아닌 기업의 ESG 요소를 보고 그 회사의 투자가치를 판단하여 투자를 할지 말지 결정하겠다고 해서 시작된 것이 ESG의 배경입니다.
3) ESG의 시작
2006년 UN 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회의
2006년 UN의 주도하에 생긴 지속 가능성 투자 원칙을 준수하는 국제 투자 기관 연합체에서 처음 ESG에 대한 규정이 만들어지고 기구가 만들어졌습니다.
책임 투자를 위한 6가지 원칙
- 투자 분석, 의사 결정 시 ESG를 적극 포함한다
- 투자 철학 및 운용 원칙에 ESG를 반영한다
- 기업에 ESG 관련 정보의 공개를 요구한다
- 금융산업의 PRI 준수 이행을 위해 노력하다
- PRI의 효율적 정착을 위해 상호 협력한다
- PRI정착을 위한 활동과 진전 상황을 보고한다
이 회의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의 위기감을 느끼고 투자대상 기업에게 ESG 관련 정보를 요구할 것을 제안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환경이란 하나의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의 모든 나라의 문제이고 특히 글로벌 기업이 환경에 대해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는 취지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ESG는 투자의 측면으로도 책임 있는 투자를 할 수 있는 기준이 된 것입니다.
재무적인 요소는 숫자라 평가가 쉽지만 ESG는 평가가 쉽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ESG는 이미 기업 경영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이해관계가 엮이어 있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파괴의 심각성에 기인한 것입니다.
특히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 시대를 맞이하며 환경문제가 얼마나 중요한 문제인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된 개기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ESG는 기업 경영 측면에서 제무적 성과와 더불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